케미코첨단소재(주)

시장현황
사업소개 시장현황

글로벌 환경규제 동향

"전 세계적으로 모든 기업 강화되는 환경규제 및 ESG 경영전략 대책마련 필요"

  • 탄소국경제도 : EU의 CBAM(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)
    - 유럽연합 내로 수입되는 역외 제품에 대해 탄소 가격을 동등하게 부과·징수하는 제도

  • 탄소국경세
    - 탄소의 이동에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
    - 수입품을 대상으로 해당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을 따져 비용을 부과

  •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:NDC (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)
    - 파리협정에 따라 2030년까지 국제사회에 감축 이행을 약속하는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
    - 우리 정부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% 감축하는 방안을 2021년 10월 확정

기존 발포소재 현황 및 규제 (polystylen, PS)

  • 시장현황
    • 스티로폼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
    • 제조 과정에서 유해 화학물질이 배출 인체와 환경에 악영향
    • 분해 어려워 잔류하며, 미세플라스틱 오염의 주요원인
    • 일부 전문가들 PS의 생산을 국제적으로 금지 제안
    • 세계각국에서 PS폼 용기 사용을 금지, 감축하는 법안을 시행 중
  • 해외규제
    • 미국 메인 주가 2021년 1월 1일 부로 PS 폼 용기사용 금지
    • 던킨, 맥도날드, 월드디즈니, 스타벅스 등 PS폼 컵을 친환경 제품으로 단계적 교체
    • EU는 2021년 7월부터 PS폼 음료 용기의 사용을 금지
    •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스티로폼 규제가 점점 강화
    • 필리핀 2024년부터 PS폼 제품 사용을 단계적으로 금지
    • 베트남은 최근 PS뿐만 아닌 플라스틱 관련하여 규제를 강화
  • 국내규제
    • 자원순환기본법 일회용 플라스틱 및 PS 폼 단계별 금지
    • 2024년 PS 폼 음식 포장용고기와 음료 용기 판매 및 제조 금지
    • 2025년 육류, 수산물, 농산물 등의 PS폼 포장도 금지

PP(polypropylene) 현황 및 전망

  • 전세계 플라스틱 소비량 20%PP

  • 유럽19%

  • 북미16%

  • 아시아-태평양58%

  • 기타7%

PP(polypropylene) 사용 당위성

  •   가공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
  •   고유물성에 따른 고온 사용적합성
  •   환경규제에 적합한 친환경성에 따른 적용분야 다양
  •   투명 및 내구성 수요증대에 따른 사용적합성

친환경 시장환경 해법

ESG경영을 위해서 케미코의 기술을 채택하세요

  •   플라스틱 사용량을 평균 40% 감소
  •   온실가스 배출량 24% 감축
  •   수출 교역 시 환경규제를 대응
  •   기업이미지의 제고
  •   ESG 등급평가상승
  •   기능성이 부여된 다양한 제품에 적용확대